입시친

Medic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Contents

의대 입시 용어 및 의대 입시전형 자료 전달

정시✅수능 탐구영역 선택 가이드④ 실제 대입에서의 탐구 가산점 영향력은 어느 정도일까

메디친
2025-02-20
조회수 243


안녕하세요. 메디친 입니다.

수능 탐구과목 선택 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여러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 


수능 탐구 영역 선택 가이드①, ②, ③을 통해 2025학년도 대입부터 많은 대학에서 가산점을 도입했다는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을 거예요. 

하지만 가산점이 실제 대입에서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지 감이 잘 안 잡힐 수도 있을 거예요.

 이번 가이드④에서는 학생 A, B, C의 성적표를 활용해서 탐구 가산점의 영향력을 자세히 살펴볼게요.


오늘도 아래 내용 확인해 보시고 입시전략에 참고해보시길 바랄게요!




📚수능 탐구과목 선택 가이드📚  

 바로가기(아래 클릭)

✅수능 탐구영역 선택 가이드① 2023~2025학년도 수능 탐구 선택 과목 분석

✅수능 탐구영역 선택 가이드② 2026학년도 수도권 주요 35개 대학 수능 탐구 가산점 현황

✅수능 탐구영역 선택 가이드③ 2026학년도 지방거점국립 9개 대학 탐구 가산점 현황

✅수능 탐구영역 선택 가이드④ 실제 대입에서의 탐구 가산점 영향력은 어느 정도일까




💡

가산 점 ▶ 수능 응시 과목 따라 가산점 10% 도 준다고?


※ 2025학년도 수능 기준, 한국사는 2등급 기준임

학생 A, B, C의 국, 영, 수 성적 및 표준점수 단순 합은 모두 동일해요. 가장 큰 차이점은 수능 선택 과목의 차이죠.

학생 A는 사회탐구 2과목, 학생 B는 사회탐구 1과목 & 과학탐구 1과목, 학생 C는 과학탐구 2과목을 응시했어요


2025학년도 연세대 정시 모집 요강 기준, 인문계열에 지원하면

사회탐구 과목별 3% 가산점을, 자연계열에 지원하면 과학탐구 과목별 3% 가산점을 받을 수 있어요.


세 학생이 각각 국어국문학과(인문계열)와 기계공학부(자연계열)에 지원한다고 가정했을 때, 

대학 환산 점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 볼게요.





국어국문학과 지원시 가산점 현황



학생 A가 국어국문학과에 지원하면 탐구 영역 두 과목에 각각 3% 가산점을 받아 703.40점이 돼요.

학생 B는 한 과목에만 3% 가산점을 받아 702.66점, 학생 C는 가산점을 받지 못해 700.99점이에요.

학생 A보다 학생 B의 백분위 합이 조금 더 높지만, 가산점을 덜 받아서 최종 환산 점수 차이가 나는 걸 알 수 있어요.




기계공학부 지원시 가산점 현황


반대로 기계공학부에 지원한다고 가정해 볼게요.

학생 A는 사회탐구 2과목을 응시해서 가산점을 받지 못해 695.12점,

학생 B는 과학탐구 1과목을 응시해 3% 가산점을 받아 700.88점,

학생 C는 탐구 영역 두 과목에 각각 3% 가산점을 받아 705.28점이 돼요.

백분위 단순 합으로 보면 학생 A가 학생 B, C에 비해 1점 낮은 수준이지만,
가산점 적용 후 대학별 환산 점수에서는 약 10점 차이가 발생할 정도로 가산점의 영향력이 크다는 걸 알 수 있어요.

 

※ 2025학년도 수능 기준, 한국사는 4등급 기준임


✅과+사탐 혼합선택시 유불리현황


그렇다면 이른바 혼합 선택(사회탐구+과학탐구)을 하게 되면,
가산점을 받지 못하는 과목을 얼마나 높게 받아야 할까요?

표준점수 및 백분위 총합이 같은 두 학생은 수학 선택 과목이 모두 미적분으로 동일해요.
 하지만 학생 D는 과학탐구 두 과목을, 학생 E는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를 각각 한 과목씩 응시했어요.

2025학년도 숭실대 정시 모집 요강에 따르면, 전기공학부(자연계열1)에서 미적분/기하를 선택하면 7%, 과학탐구를 응시하면 1과목당 2.5%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어요.
탐구 영역 두 과목에서 모두 가산점을 적용받은 **학생 D(923.34점)**의 대학별 환산 점수가 **학생 E(919.33점)**보다 높아요.

현재 학생 E의 성적에서 사회문화 표준점수를 1점 더 올려 61점을 받으면 숭실대 대학별 환산 점수는 921.87점이 되지만, 여전히 학생 D보다 약 1.5점 낮아요.
2점을 더 올려 62점을 받으면 대학 환산 점수가 924.31점이 되어, 과학탐구 두 과목을 응시한 학생 D보다 높은 점수가 돼요.
이때 사회문화의 백분위는 89, 등급은 2등급이 되죠.

표준점수 2점 차이는 대체로 문제 한 개 정도에 해당하기 때문에 쉽게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매년 시험 난이도가 달라지므로, 백분위 기준으로 보면 81에서 89로 크게 상승해야 하고, 등급도 3등급에서 2등급으로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해야 해요.

결국, 이런 정시 전형에서의 가산점 영향까지 계산하여 탐구 영역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출처 :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