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시에서 전형별로 수능최저학력기준에서 응시 과목을 지정하는 경우가 있듯이,
정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연계열 모집 단위 지원 시 수학은 미적분과 기하,
탐구는 과학탐구를 필수로 응시해야 하는 대학 및 모집 단위가 있죠
✅ 정시에서의 수능 응시 지정 과목 변화
2025학년도 대입부터 대부분의 대학들이 정시에서 수학(미적분/기하 택1),
과학탐구에 대한 수능 응시 지정 영역을 폐지하기 시작했어요.
의약학계열을 제외한 수도권 주요대 자연계열을 기준으로,
2026학년도부터 홍익대는 수학(미적분/기하 택1) 응시 지정 과목을 폐지했어요.
✅ 과학탐구 선택 시 유의 사항
과학탐구의 경우 동일 과목 I+II 선택 불가 혹은 특정 과목을 선택해야 하는
제한을 두는 학교도 있으니,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해요.
1️⃣정시와 수시의 응시 지정 과목 차이
정시에서의 수학(미적분/기하 택1) 응시 지정 현황은 대체로 수시와 비슷하지만, 차이점이 있어요.
가천대, 경북대, 부산대, 서울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는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의 모집 단위별 응시 지정 과목과 동일해요.
그러나, 수시와 달리 정시에서 경상국립대, 숭실대, 연세대(서울)는 선택 과목에 제한을 두지 않아요.
또한 전남대는 수시에서 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예약)과 건축학부-건축도시설계(전공예약)에
필수 응시 영역을 두지만, 정시에서는 해당 전공예약 모집 단위를 선발하지 않아요.
2️⃣정시 지원 전 대학별 기준 확인 필수
이처럼 정시에서의 응시 지정 과목은 수시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지만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대학별 기준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표1] 수도권 35개 대학과 지방거점국립대 자연계열 수학(미적분/기하) 지정 현황-정시
(의약학계열 제외)
| 지정 | 미지정 |
가천대 | 클라우드공학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경북대 | 전자공학부 모바일공학전공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부산대 | 수학과, 수학교육과, 화학과, 물리교육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서울대 | 자연계열 전 모집 단위 | - |
전남대 | 건축학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물리교육과, 물리학과, 미래모빌리티융합학과, 빅데이터융합학과, 생물공학과, 생물교육과, 수학과, 수학교육과, 신소재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과, 인공지능학부, 전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부, 지구과학교육과, 토목공학과, 통계학과, 화학공학부, 화학교육과, 환경에너지공학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전북대 | 수학교육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제주대 | 수학교육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충남대 | 수학과, 수학교육과, 정보통계학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충북대 | 수학과, 수학교육과, 정보통계학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2025학년도 대입과 비교하여 2026학년도 대입에서는 정시 수능 과학탐구 응시 지정을 폐지한 대학이 증가하였다.
2025학년도 자연계열 과학탐구 지정이 있었던
고려대, 인천대, 홍익대, 숙명여대(과탐 1과목 필수) 4개 대학이 2026학년 대입부터 탐구 과목에 응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표2] 수도권 35개 대학과 지방거점국립대 자연계열 과학탐구 지정 현황 – 정시
(의약학계열 제외)
| 지정 | 미지정 |
가천대 | 클라우드공학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강원대 | AI융합학과, 건축토목환경공학부, 건축학과, 과학교육학부, 기계의용메카트로닉스공학부, 디지털밀리터리학과, 반도체물리학과, 배터리융합공학과, 분자생명과학과, 생명건강공학과, 생명과학과, 생물의소재공학과, 수학과, 수학교육과, 에너지자원산업공학부, 의생명융합학부, 전기전자공학과, 전자공학과, 지질지구물리학부, 컴퓨터공학과, 화공생물공학부, 화학생화학부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경북대 | 전자공학부 모바일공학전공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부산대 | 자연계열 전 모집 단위 (일부 모집 단위 제외) | 건축학과, 도시공학과, 디자인학과-디자인앤테크놀로지,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산업공학과, 조경학과, 통계학과, IT응용공학과,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서울대 | 자연계열 전 모집 단위 | - |
성신여대 | 간호학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전남대 | 건축학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물리교육과, 미래모빌리티융합학과, 빅데이터융합학과, 생물공학과, 생물교육과, 수학교육과, 신소재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과, 인공지능학부, 전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부, 지구과학교육과, 토목공학과, 화학공학부, 화학교육과, 환경에너지공학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전북대 | 과학교육학부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제주대 | 과학교육학부-생물교육, 과학교육학부-물리교육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충남대 | 수학교육과, 식품영양학과 |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
충북대 | 자연계열 전 모집 단위 (일부 모집 단위 제외) | 간호학과, 목재종이과학과,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산림학과, 식물의학과, 식물자원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식품영양학과, 원예과학과, 의류학과, 주거환경학과, 지역건설공학과, 축산학과, 특용식물학과, 환경생명화학과 |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수도권 35개 대학 중에는 가천대(클라우드공학과), 서울대, 성신여대(간호학과) 3개 대학이, 지방거점국립대 9개 대학 중에는 경북대(전자공학부-모바일공학),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과학교육학부), 제주대(과학교육학부-생물교육, 물리교육), 충남대(수학교육과, 식품영양학과), 충북대 8개 대학이 자연계열 전체 또는 일부 모집 단위에서 과학탐구 응시를 지정하고 있다.
[표3] 의약학계열(자연) 수학, 과학탐구 미지정 대학 - 정시
| 수학 미지정 | 과학탐구 미지정 |
의예 | 가톨릭관동대, 가톨릭대, 강원대, 건국대(글로컬), 건양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동아대, 부산대, 성균관대, 순천향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영남대, 원광대, 을지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 가톨릭관동대,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동아대, 부산대, 성균관대, 순천향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
치의예 | 강릉원주대, 경북대, 경희대, 부산대, 연세대(서울), 원광대 | 경북대, 경희대, 부산대, 연세대(서울) |
약학 | 가톨릭대, 강원대, 경북대, 경희대, 덕성여대, 동국대, 부산대, 삼육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영남대, 우석대, 원광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ERICA) |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동국대, 부산대, 삼육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ERICA) |
한의예 | 가천대, 경희대, 대전대, 동신대, 세명대, 우석대, 원광대 | 가천대, 경희대, 대전대, 동신대, 동의대, 세명대, 우석대 |
수의예 | 강원대, 건국대, 경북대, 충북대 | 건국대, 경북대 |
※색상 표기 대학: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과 달리 수학, 과학탐구 응시 지정이 없는 경우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정시 모집에서 수학 및 탐구 과목 모두 응시 제한을 두지 않는 의약학계열(자연)은 다음과 같다.
(미적분/기하/확률과 통계+사회탐구/과학탐구 조합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
의예 : 가톨릭관동대,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동아대, 부산대, 성균관대, 순천향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치의예 : 경북대, 경희대, 부산대, 연세대(서울)
약학 :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동국대, 부산대, 삼육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ERICA)
한의예 : 가천대, 경희대, 대전대, 동신대, 세명대, 우석대
수의예 : 건국대, 경북대
-지원이 가능하고 가산점이 없는 대학
※ 수학, 과학 모두 가산점 없는 대학 : 가천대, 건국대
※ 수학 가산점 없는 대학 : 가톨릭관동대,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부산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한양대(ERICA)
※ 과학 가산점 없는 대학 : 동신대, 우석대
수학 및 과학탐구에 별도의 가산점이 없어 확률과 통계+사회탐구 조합으로 지원했을 때 불이익이 없는 대학은 가천대 한의예과, 건국대 수의예과 2개 대학뿐이다.
의약학계열(자연)의 경우 최상위 모집 단위로 경쟁이 치열한 특성상 영역별 점수 구조에 따른 유·불리가 극명하게 갈리고, 한 문제뿐 아니라 대학별 환산 점수 소수점 차이로도 당락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의약학계열 정시 지원을 고려하는 수험생들은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수학에서는 미적분/기하 중 한 과목을, 탐구에서는 과학탐구 2과목을 응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선택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출처: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수시에서 전형별로 수능최저학력기준에서 응시 과목을 지정하는 경우가 있듯이,
정시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연계열 모집 단위 지원 시 수학은 미적분과 기하,
탐구는 과학탐구를 필수로 응시해야 하는 대학 및 모집 단위가 있죠
✅ 정시에서의 수능 응시 지정 과목 변화
2025학년도 대입부터 대부분의 대학들이 정시에서 수학(미적분/기하 택1),
과학탐구에 대한 수능 응시 지정 영역을 폐지하기 시작했어요.
의약학계열을 제외한 수도권 주요대 자연계열을 기준으로,
2026학년도부터 홍익대는 수학(미적분/기하 택1) 응시 지정 과목을 폐지했어요.
✅ 과학탐구 선택 시 유의 사항
과학탐구의 경우 동일 과목 I+II 선택 불가 혹은 특정 과목을 선택해야 하는
제한을 두는 학교도 있으니,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해요.
1️⃣정시와 수시의 응시 지정 과목 차이
정시에서의 수학(미적분/기하 택1) 응시 지정 현황은 대체로 수시와 비슷하지만, 차이점이 있어요.
가천대, 경북대, 부산대, 서울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는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의 모집 단위별 응시 지정 과목과 동일해요.
그러나, 수시와 달리 정시에서 경상국립대, 숭실대, 연세대(서울)는 선택 과목에 제한을 두지 않아요.
또한 전남대는 수시에서 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예약)과 건축학부-건축도시설계(전공예약)에
필수 응시 영역을 두지만, 정시에서는 해당 전공예약 모집 단위를 선발하지 않아요.
2️⃣정시 지원 전 대학별 기준 확인 필수
이처럼 정시에서의 응시 지정 과목은 수시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지만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대학별 기준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표1] 수도권 35개 대학과 지방거점국립대 자연계열 수학(미적분/기하) 지정 현황-정시
(의약학계열 제외)
지정
미지정
가천대
클라우드공학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경북대
전자공학부 모바일공학전공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부산대
수학과, 수학교육과, 화학과, 물리교육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서울대
자연계열 전 모집 단위
-
전남대
건축학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물리교육과, 물리학과, 미래모빌리티융합학과, 빅데이터융합학과, 생물공학과, 생물교육과, 수학과, 수학교육과, 신소재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과, 인공지능학부, 전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부, 지구과학교육과, 토목공학과, 통계학과, 화학공학부, 화학교육과, 환경에너지공학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전북대
수학교육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제주대
수학교육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충남대
수학과, 수학교육과, 정보통계학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충북대
수학과, 수학교육과, 정보통계학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2025학년도 대입과 비교하여 2026학년도 대입에서는 정시 수능 과학탐구 응시 지정을 폐지한 대학이 증가하였다.
2025학년도 자연계열 과학탐구 지정이 있었던
고려대, 인천대, 홍익대, 숙명여대(과탐 1과목 필수) 4개 대학이 2026학년 대입부터 탐구 과목에 응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표2] 수도권 35개 대학과 지방거점국립대 자연계열 과학탐구 지정 현황 – 정시
(의약학계열 제외)
지정
미지정
가천대
클라우드공학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강원대
AI융합학과, 건축토목환경공학부, 건축학과, 과학교육학부, 기계의용메카트로닉스공학부, 디지털밀리터리학과, 반도체물리학과, 배터리융합공학과, 분자생명과학과, 생명건강공학과, 생명과학과, 생물의소재공학과, 수학과, 수학교육과, 에너지자원산업공학부, 의생명융합학부, 전기전자공학과, 전자공학과, 지질지구물리학부, 컴퓨터공학과, 화공생물공학부, 화학생화학부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경북대
전자공학부 모바일공학전공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부산대
자연계열 전 모집 단위
(일부 모집 단위 제외)
건축학과, 도시공학과,
디자인학과-디자인앤테크놀로지,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산업공학과, 조경학과, 통계학과, IT응용공학과,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서울대
자연계열 전 모집 단위
-
성신여대
간호학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전남대
건축학부,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물리교육과, 미래모빌리티융합학과, 빅데이터융합학과, 생물공학과, 생물교육과, 수학교육과, 신소재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과, 인공지능학부, 전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부, 지구과학교육과, 토목공학과, 화학공학부, 화학교육과, 환경에너지공학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전북대
과학교육학부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제주대
과학교육학부-생물교육, 과학교육학부-물리교육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충남대
수학교육과, 식품영양학과
지정 모집 단위 제외 전 모집 단위
충북대
자연계열 전 모집 단위
(일부 모집 단위 제외)
간호학과, 목재종이과학과,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산림학과, 식물의학과, 식물자원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식품영양학과, 원예과학과, 의류학과, 주거환경학과, 지역건설공학과, 축산학과, 특용식물학과, 환경생명화학과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수도권 35개 대학 중에는 가천대(클라우드공학과), 서울대, 성신여대(간호학과) 3개 대학이, 지방거점국립대 9개 대학 중에는 경북대(전자공학부-모바일공학), 부산대, 전남대, 전북대(과학교육학부), 제주대(과학교육학부-생물교육, 물리교육), 충남대(수학교육과, 식품영양학과), 충북대 8개 대학이 자연계열 전체 또는 일부 모집 단위에서 과학탐구 응시를 지정하고 있다.
[표3] 의약학계열(자연) 수학, 과학탐구 미지정 대학 - 정시
수학 미지정
과학탐구 미지정
의예
가톨릭관동대, 가톨릭대, 강원대, 건국대(글로컬), 건양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동아대, 부산대, 성균관대, 순천향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영남대, 원광대, 을지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가톨릭관동대,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동아대, 부산대, 성균관대, 순천향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치의예
강릉원주대, 경북대, 경희대, 부산대, 연세대(서울), 원광대
경북대, 경희대, 부산대, 연세대(서울)
약학
가톨릭대, 강원대, 경북대, 경희대, 덕성여대, 동국대, 부산대, 삼육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영남대, 우석대, 원광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ERICA)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동국대, 부산대, 삼육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ERICA)
한의예
가천대, 경희대, 대전대, 동신대, 세명대, 우석대, 원광대
가천대, 경희대, 대전대, 동신대, 동의대, 세명대, 우석대
수의예
강원대, 건국대, 경북대, 충북대
건국대, 경북대
※색상 표기 대학: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과 달리 수학, 과학탐구 응시 지정이 없는 경우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으로,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정시 모집에서 수학 및 탐구 과목 모두 응시 제한을 두지 않는 의약학계열(자연)은 다음과 같다.
(미적분/기하/확률과 통계+사회탐구/과학탐구 조합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
의예 : 가톨릭관동대,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동아대, 부산대, 성균관대, 순천향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치의예 : 경북대, 경희대, 부산대, 연세대(서울)
약학 :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동국대, 부산대, 삼육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아주대,
연세대(서울),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ERICA)
한의예 : 가천대, 경희대, 대전대, 동신대, 세명대, 우석대
수의예 : 건국대, 경북대
-지원이 가능하고 가산점이 없는 대학
※ 수학, 과학 모두 가산점 없는 대학 : 가천대, 건국대
※ 수학 가산점 없는 대학 : 가톨릭관동대, 가톨릭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부산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한양대(ERICA)
※ 과학 가산점 없는 대학 : 동신대, 우석대
수학 및 과학탐구에 별도의 가산점이 없어 확률과 통계+사회탐구 조합으로 지원했을 때 불이익이 없는 대학은 가천대 한의예과, 건국대 수의예과 2개 대학뿐이다.
의약학계열(자연)의 경우 최상위 모집 단위로 경쟁이 치열한 특성상 영역별 점수 구조에 따른 유·불리가 극명하게 갈리고, 한 문제뿐 아니라 대학별 환산 점수 소수점 차이로도 당락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의약학계열 정시 지원을 고려하는 수험생들은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수학에서는 미적분/기하 중 한 과목을, 탐구에서는 과학탐구 2과목을 응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선택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출처: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