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월 2주 브리핑 💌
1. 작심삼일 운동 결심, ‘장내미생물’ 탓?
2. 안구건조증은 마음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3. 2060년 청소년 당뇨병 대란 오나
4. 美 FDA 오류…국내연구진이 수학으로 찾았다
작심삼일 운동 결심, ‘장내미생물’ 탓?

▲ 인간장내미생물프로젝트(HMP)를 통해 밝혀진 장내 미생물들의 모습. ⒸCDC
운동 결심이 작심삼일로 끝나는 것이 장내미생물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니아대의대 연구진은 쳇바퀴에서 자주 달리기를 하는 쥐들의 특징을 분석했다. 이후 연구진은 쥐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두 종류의 박테리아(Eubacterium rectale, Coprococcus euatactus)를 찾아내고, 이들 박테리아가 운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도 규명했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러너하이에 대해 알고싶은
✅ 박테리아 관련 연구가 궁금한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사이언스타임즈
안구건조증은 마음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 GIPHY
미국의 다양한 논문에서 안구건조증이 불면증의 유발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증이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관찰되었습니다. 즉, 마음의 피로가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반대로 안구건조증이 마음의 우울과 불안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눈 건강에 관심이 많은
✅ 신체 건강과 정신 건강의 연관성이 궁금한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정신의학신문
2060년 청소년 당뇨병 대란 오나

©게티이미지뱅크
2060년에 청소년에서 당뇨병 대란이 찾아올 것이란 위기신호가 감지됐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2060년에 미국에서 당뇨병을 앓을 20세 미만의 청소년 유병률과 환자 수를 예측한 결과, 2002~2017년 추세가 계속된다면 1형 당뇨병은 65%, 2형 당뇨병은 673%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당뇨병에 대해 알고싶은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메디칼업저버
美FDA 오류…국내연구진이 수학으로 찾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약물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이 빈번해지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신약개발 단계에서부터 약물 상호작용을 평가하라는 내용의 지침서(FDA Guidance)를 1997년 최초 발행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FDA 수식이 부정확한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새로운 수식을 제시했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임상시험에 대해 알고싶은
✅ 신약개발에 관심이 많은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사이언스타임즈
💌 1월 2주 브리핑 💌
1. 작심삼일 운동 결심, ‘장내미생물’ 탓?
2. 안구건조증은 마음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3. 2060년 청소년 당뇨병 대란 오나
4. 美 FDA 오류…국내연구진이 수학으로 찾았다
▲ 인간장내미생물프로젝트(HMP)를 통해 밝혀진 장내 미생물들의 모습. ⒸCDC
운동 결심이 작심삼일로 끝나는 것이 장내미생물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니아대의대 연구진은 쳇바퀴에서 자주 달리기를 하는 쥐들의 특징을 분석했다. 이후 연구진은 쥐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두 종류의 박테리아(Eubacterium rectale, Coprococcus euatactus)를 찾아내고, 이들 박테리아가 운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도 규명했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러너하이에 대해 알고싶은
✅ 박테리아 관련 연구가 궁금한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사이언스타임즈
ⓒ GIPHY
미국의 다양한 논문에서 안구건조증이 불면증의 유발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증이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관찰되었습니다. 즉, 마음의 피로가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반대로 안구건조증이 마음의 우울과 불안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눈 건강에 관심이 많은
✅ 신체 건강과 정신 건강의 연관성이 궁금한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정신의학신문
©게티이미지뱅크
2060년에 청소년에서 당뇨병 대란이 찾아올 것이란 위기신호가 감지됐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2060년에 미국에서 당뇨병을 앓을 20세 미만의 청소년 유병률과 환자 수를 예측한 결과, 2002~2017년 추세가 계속된다면 1형 당뇨병은 65%, 2형 당뇨병은 673%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당뇨병에 대해 알고싶은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메디칼업저버
ⓒ기초과학연구원(IBS)
약물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이 빈번해지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신약개발 단계에서부터 약물 상호작용을 평가하라는 내용의 지침서(FDA Guidance)를 1997년 최초 발행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FDA 수식이 부정확한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새로운 수식을 제시했다.
👍 이런 분에게 추천해요
✅ 임상시험에 대해 알고싶은
✅ 신약개발에 관심이 많은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사이언스타임즈